본문 바로가기
IT, 테크

엑셀 소수점 버림, 헷갈리지 않고 완벽하게! 함수 가이드

by 소심한통통이 2025. 8. 20.
반응형

엑셀 소수점 버림, 헷갈리지 않고 완벽하게! 함수 가이드

TRUNC, INT, ROUNDDOWN 함수 한 번에 끝내기

함수버림
함수버림


안녕하세요! 오늘도 꿀정보를 들고 온 소심한 통통이입니다!

엑셀로 복잡한 계산을 하다 보면 소수점 때문에 골치 아플 때가 많죠? 특히 소수점 아래를 무조건 버리고 정수만 남겨야 할 때, 어떤 함수를 써야 할지 헷갈리실 텐데요. 오늘은 엑셀에서 소수점을 깔끔하게 '버리는' 다양한 함수들을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오늘 다룰 내용

  • 1. 소수점 버림의 기본: INT 함수와 TRUNC 함수
  • 2. 원하는 자릿수에서 버리기: ROUNDDOWN 함수
  • 3. 각 함수의 특징과 사용 예시
  • 4. 한눈에 보는 함수 비교표

1. 소수점 버림의 기본: INT 함수와 TRUNC 함수

소수점 아래를 '모두' 버리고 정수만 남길 때 가장 많이 쓰이는 함수입니다.

1) INT 함수

INT는 'Integer'의 약자로, 숫자의 정수 부분만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소수점 아래를 무조건 버리고 정수만 남기죠.

  • 사용법: =INT(숫자)
  • 예시: =INT(3.14) → 3
  • ⚠️ 주의할 점: 음수를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INT(-3.14)는 0에 가까운 -3이 아닌, 더 작은 정수인 -4를 반환합니다.

2) TRUNC 함수

TRUNC 함수는 'Truncate'의 약자로, 숫자의 소수 부분을 잘라내는 함수입니다. INT와 달리 음수에서도 소수점만 잘라냅니다.

  • 사용법: =TRUNC(숫자)
  • 예시: =TRUNC(3.14) → 3
  • 👍 장점: 음수의 경우에도 소수점만 깔끔하게 버려줍니다. =TRUNC(-3.14)-3을 반환하여 직관적입니다.

2. 원하는 자릿수에서 버리기: ROUNDDOWN 함수

소수점 아래를 모두 버리는 것이 아니라, 특정 자릿수에서 버리고 싶을 때는 ROUNDDOWN 함수를 사용합니다.

  • 사용법: =ROUNDDOWN(숫자, 자릿수)
  • 자릿수 규칙:
    • 0: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려 정수로 만듭니다.
    • 1: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버려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남깁니다.
    • -1: 일의 자리에서 버려 십의 자리까지 남깁니다.
  • 예시:
    • =ROUNDDOWN(123.456, 1)123.4
    • =ROUNDDOWN(123.456, 0)123
    • =ROUNDDOWN(123.456, -1)120

3. 각 함수의 특징과 사용 예시

세 가지 함수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INT: 정수 부분만 추출 (음수는 더 작은 정수로 내림)
  • TRUNC: 소수점만 잘라냄 (음수도 직관적으로 처리)
  • ROUNDDOWN: 원하는 자릿수에서 버림 (가장 유연한 활용)

💡 꿀팁: 보통 소수점 아래를 모두 버리고 싶을 때는 TRUNC 함수를, 특정 자릿수에서 버리고 싶을 때는 ROUNDDOWN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


4. 한눈에 보는 함수 비교표

함수명 설명 예시: 3.8 → ? 예시: -3.8 → ?
INT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 3 -4
TRUNC 소수 부분을 잘라냄 3 -3
ROUNDDOWN 원하는 자릿수에서 버림 3 (자릿수:0) -3 (자릿수:0)

마무리하며, 엑셀 활용 능력을 키워보세요!

엑셀 함수는 한 번만 제대로 익혀두면 실무나 일상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소수점 버림 함수들을 활용해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엑셀 작업을 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