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퇴직소득세, 얼마나 나올까? 퇴직금 중간정산 세금 계산법 총정리

by 소심한통통이 2025. 8. 15.
반응형

💰 퇴직소득세, 얼마나 나올까? 퇴직금 중간정산 세금 계산법 총정리

퇴직소득세
퇴직소득세

지난 블로그에서 퇴직정산에 대한 소개와 신청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엔 궁금해하실 세금계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퇴직금은 오랜 시간 회사에 기여한 대가로 받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하지만 이 퇴직금에도 세금이 붙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퇴직소득세'인데요. 특히 퇴직금 중간정산을 생각하고 있다면, 내 퇴직금에서 세금이 얼마나 빠져나갈지 미리 계산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잡해 보이는 퇴직소득세 계산법, 이 글을 통해 아주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릴게요.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는 3단계 계산법부터, 중간정산 시 세금이 어떻게 적용되는지까지 핵심만 쏙쏙 정리해 드립니다!


목차


퇴직소득세가 무엇인가요?

퇴직소득세는 직장인이 퇴직할 때 받는 퇴직금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정부는 퇴직금을 '근로를 제공하고 받은 소득'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부과하는데요. 다행히도 퇴직소득세는 일반 근로소득세와 달리, 오랜 기간의 근속을 고려하여 세금 부담을 낮춰주는 '연분연승법'을 적용해 세금을 계산합니다.

덕분에 근속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퇴직금이 많아질수록 일반 소득보다 세금이 훨씬 적게 나오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 계산법이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핵심만 짚어서 쉽게 알려드릴게요!


퇴직소득세 계산법, 3단계로 끝내기!

퇴직소득세는 아래 3단계 과정을 통해 최종 세액이 결정됩니다. 천천히 따라와 보세요!

🚀 1단계: 환산급여 계산하기

가장 먼저, 퇴직금에서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환산급여'를 구해야 합니다. 이는 '퇴직소득 금액'에서 '근속연수 공제'를 뺀 뒤, 다시 근속연수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 환산급여 = (퇴직소득 금액 - 근속연수 공제액) ÷ 근속연수
  • 근속연수 공제액: 근속 기간에 따라 정해진 금액을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5년 이하는 30만 원, 5년 초과~10년 이하는 50만 원 등 근속연수가 길수록 공제액이 커집니다.

💰 2단계: 산출세액 계산하기

이제 1단계에서 구한 '환산급여'에 세금 비율, 즉 '환산세율'을 적용하여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 산출세액 = 환산급여 x 환산세율
  • 환산세율: 소득 구간에 따라 6%부터 45%까지 적용되는 세율입니다.

👍 3단계: 최종 퇴직소득세액 계산하기

마지막으로 2단계에서 구한 산출세액에 근속연수를 다시 곱해주면 최종 세액이 나옵니다. 이때, 이미 공제받은 기본 공제액을 빼주면 최종적으로 내가 내야 할 세금이 결정됩니다.

  • 최종 퇴직소득세액 = (산출세액 x 근속연수) - 퇴직급여 공제액

퇴직금 중간정산 시 세금은 얼마나 나올까?

퇴직금 중간정산을 하게 되면, 정산받은 시점의 퇴직금을 기준으로 세금이 먼저 부과됩니다. 이후 퇴직할 때 다시 한번 전체 퇴직금에 대한 세금을 계산하게 되는데요. 중요한 점은 중간정산 금액과 남은 퇴직금이 합쳐져서 한 번에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중간정산 시점까지의 퇴직금에 대한 세금 계산이 끝난 후, 다시 입사한 것처럼 새로운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나머지 퇴직금에 대한 세금이 계산됩니다. 따라서 중간정산을 자주 할수록 근속연수가 짧아져서 세금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세금을 줄이는 간단한 팁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중간정산을 자주 하는 것보다는 퇴직금을 한 번에 받는 것이 세금을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퇴직연금(IRP)으로 활용하기: 퇴직금을 퇴직연금 계좌(IRP)로 받으면, 세금을 납부하지 않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후 연금으로 수령하면 세금 부담이 훨씬 줄어들어 효과적인 절세가 가능합니다.


결론: 퇴직소득세, 미리 알면 두렵지 않다!

복잡해 보이는 퇴직소득세 계산법이지만, 알고 보면 근속연수에 대한 공제와 세금 분할로 인해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합리적인 제도입니다. 특히 퇴직금 중간정산을 계획 중이라면, 이번 글에서 알려드린 계산법과 주의사항을 꼭 기억하고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회사 담당 부서나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여러분의 현명한 선택을 응원합니다!

2025.08.15 - [생활꿀팁] - 퇴직금 중간정산, 신청하면 언제 받을 수 있을까? 지급기한과 조건 총정리!

2025.08.15 - [생활꿀팁] - 퇴직금 중간정산 서류, 헷갈리지 마세요! 상황별 필수 서류 완벽 가이드

 

반응형